오라클의 Tablespace.

테이블이 저장되는 공간.

오라클에서는 테이블스페이스라고 하여 테이블이 저장될 공간을 먼저 만들고 나서 테이블을 생성 한다

각각의 테이블을 테이블스페이스별로 나누어서 관리와 퍼포먼스의 향상을 가지고 오는것 이다


테이블스페이스를 생성하면 정의된 용량만큼 미리확보한 테이블 스페이스가 생성 되어지고 생성되어진 테이블 스페이스에 테이블 데이터가 저장 된다.


테이블스페이스 생성

create tablespace webacc

datafile 'C:\oracle\product\10.2.0\oradata\orcl\test.dbf' size 100m

default storage

(INITIAL    10K

NEXT      10K

MINEXTENTS 2

MAXEXTENTS 50

PCTINCREASE 50)

;


테이블스페이스 자동확장
alter tablespace webacc
add datafile 'C:\oracle\product\10.2.0\oradata\orcl\test02.dbf' size 200m
autoextend on next 10m
maxsize 500m
;

Oracle을 사용하다보면 종종 유저 Lock이 걸리곤 한다. 


일단 root 권한인 sys로 oracle에 접속하자

sqlplus sys/manager as sysdba;


유저 락 해제

alter user soctt2 account unlock;


유저의 락을 해제하면 비번과 권한설정을 새로 해주어야 한다.

alter user scott2 identified by tiger2;

grant create session to scott2;

grant create sequence to scott2;

grant create table to scott2;

grant drop any table to scott2;


그리고 테이블을 생성/삭제 하려는데, 테이블스페이스의 권한설정이 새로 생성한 scott2에게 없다고 에러를 낸다.

그럴 때는 scott2 유저에게 테이블스페이스의 권한까지 주자.

alter user scott2 quota unlimited on webacc;


이렇게하면 에러가 나지 않을 것이다

Java 멤버

자바의 클래스 안에는 변수와 메소드가 올 수 있는데, 이들 클래스와 메소드를 멤버라 부른다

멤버변수 (Member Variable)는 클래스 안에서 선언된 변수를 말하는데, 초기화를 시켜주지 않아도 객체를 생성 할 때 각 자료형의 기본 값으로 초기화 된다.


기본적으로 변수(Variable)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자 물리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리키는 주소이다.

변수(Variable)는 그리하여 위에서 언급했던 멤버안의 멤버변수와 지역 변수 이다.


멤버 변수는 3가지로 나뉘는데 클래스 변수와 인스턴스 변수로 나뉘어진다.

클래스변수 - 선언시 static 키워드가 선언된 메소드로 자바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 까지 남아있으며 클래스의 모든 인스턴스들이 사용 할 수 있는 변수

종단변수 - 선언시 final 키워드가 선언되며, 더이상의 변수가 아닌 상수 개념으로서의 값이 변하지 않는 변수

인스턴스변수 - 클래스의 멤버로 선언되나 static 키워드는 선언되지 않은 메소드로 인스턴스가 참조될 때만 사용 가능하게 되는 변수


지역변수 - 메소드 안에서 선언되며 메소드 시작시 생성, 메소드 종료시 삭제되는 등 메소드의 라이프사이클과 함께 한다.

그리고 지역변수는 그 메소드 내에서만 사용이 유효하다.



'Server Enterpris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compile] java decompiler  (0) 2014.12.30
[Encode] 한글 인코딩  (0) 2014.08.15
[Image Object] width, height  (0) 2014.03.11
[Java] System.getProperty() 에 관하여  (0) 2013.06.14
POJO 개념  (0) 2013.0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