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sequence 생성 이후 seq_name.nextval로 생성되는 숫자가 1, 2, 3 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10, 20씩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유:


sequence에 cache 옵션이 선택되었기 때문이다. cache 옵션을 사용하면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sequence 번호를 한 번에 여러 개씩 메모리에 올려놓고 작업을 한다. 이것을 사용하면 매번 sequence 번호를 생성하는 것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DB를 중지시키거나 전원이 off 되는 경우에 메모리에 있던 번호가 삭제되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이 발생된다. 즉 cache 옵션이 20개씩 시퀀스 번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한번에 1부터 20까지 시퀀스 번호를 생성한다. 이 상태에서 DB를 중지하고 재시작 시키면 메모리에 있던 20번까지의 시퀀스가 삭제되고 21번부터 40번까지 메모리에 시퀀스 번호가 저장되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 1, 21, 41로 시퀀스 번호가 증가될 수 있다.


참고:


* 모든 sequence 정보 확인 쿼리:


select sequence_name, min_value, max_value, increment_by, last_number


from user_sequences;


/


* cache size 확인 쿼리:


select sequence_name, cache_size


from user_sequences


where sequence_name = 'seq1'


/


* cache 옵션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을 변경하는 쿼리


alter sequence seq1 nocache


/


출처: OTN, Google

Tablespace


 - DBMS에 저장되는 자료가 있는 물리적인 파일.


 - 각 개체마다 테이블스페이스를 지정해 줄 수 있고, 사용자에게 기본으로 사용할 테이블스페이스를 지정할 수 있다.


 - 오라클에서는 기본적으로 /usr/local/oracle/oradata/[SID]/ 디렉토리에 기본 테이블스페이스를 생성하며,


    Oracle Express Edition에서는 /usr/lib/oracl/xe/oradata/XE/ 디렉토리에 기본 테이블스페이스를 저장한다.





테이블스페이스 생성


 테이블스페이스를 생성할 경우 여러 옵션이 사용될 수 있으나 테이블스페이스의 기본 용량을 자동으로 늘려주는


 옵션(autoextend) 등은 기본으로 사용하는 것이 편하다.


create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예: ts_jihyung)
 
datafile '테이블스페이스 파일 저장 경로 (예: D:/db/테이블스페이스명.dbf)'
 
size 파일 용량 (예: 50M)
 
autoextend on
 
extent management local autoallocate;





Temp 테이블스페이스 생성


Temp 테이블스페이스의 최소 용량은 1 MByte 이상이다. 그러므로 처음 생성시 2 MByte로 생성 한 뒤 자동증가 옵션을 사용한다


create temporary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예: ts_temp_jihyung)
 
tempfile 'Temp 테이블 스페이스 파일 저장 경로 (예: D:/db/Temp테이블스페이스명.dbf)'
 
size 파일 용량 (예: 2M)
 
autoextend on
 
extent management local;




테이블스페이스 삭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테이블스페이스의 모든 내용을 자동으로 지우고 파일까지 깔끔하게 삭제할 수 있다.


 이 옵션이 바로 "including contents AND datafiles"이다.


drop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including contents and datafiles
 
cascade constraints;





-- 테이블 스페이스 관련


계정생성시에 tablespace를 지정해주지않으면 ( Default tablespace를 지정하지 않으면 ) 

Database의 Default Tablespace로 Object가 저장이되고 ,


Database의 Default Tablespace가 지정되지 않았다면 System Tablespace로 저장이 됩니다.


현재 유저의 Default Tablespace 확인은 user_users의 테이블을 조회




유저의 Default Tablespace 지정

SQL> Alter User 유저명 default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유저 Default Tablespace 변경

SQL> Alter User 유저명 default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테이블의 Tablespace 변경

SQL> Alter table 테이블명 Move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 테이블이 차지하는 빈공간 제거 쿼리

ALTER TABLE 테이블명  SHRINK SPACE ;

ALTER TABLE 테이블명  DEALLOCATE UNUSED ;

iBATIS에서 질의를 만들다 보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난다.




ORA-00911: 문자가 부적합합니다


ORA-00911: invalid Character





실제 내용이된 SQL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면 제일 마지막에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았나 의심해 보자.

SELECT deptno

     , SUBSTR(XMLAgg(XMLELEMENT(x, ',', empno) ORDER BY empno).Extract('//text()'), 2) "9i"

     , WM_CONCAT(empno) "10g"

     , LISTAGG(empno, ',') WITHIN GROUP(ORDER BY empno) "11g"

  FROM emp

 GROUP BY deptno

 ORDER BY deptno

 


오라클 10g 에서 사용하는 wn_concat 함수는 정렬이 안된다

오라클 Character set 에 따라 한글 저장의 Byte 수가 다르다.



EUC-KR : 한글 1자 : 2 Byte

UTF-8 : 한글 1자 : 3 Byte




os : windows7 64bit

DB : 32bit client(server)

Toad : 32bit ver.10


 

tns 리스너가 로컬을 찾지 못해 나는 에러.

listener.ora 파일 변경


 


SID_LIST_LISTENER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orcl)

      (ORACLE_HOME = C:\app\kimjinmi\product\11.2.0\dbhome_1)

#      (PROGRAM = extproc) 주석처리

      (ENVS = "EXTPROC_DLLS=ONLY:C:\app\kimjinmi\product\11.2.0\dbhome_1\bin\oraclr11.dll")

    )

  )


 


빨간색으로 한부분을 자신의  SID 명으로 바꿔준다.


toad는 tns 리스너를 통해 DB에 접근하게 된다.


오라클을 클라이언트가 아닌 서버로 설치할 경우 로컬을 서버로 인식하지 못해


DB 에 접근할 수 없어 에러가 나타난다.

view > toad option > execute/compile > Substitution~~~ 

를 none으로 하면 특수문자 입력됩니다. 




<delete id="deleteMyInfo">
{call
declare
begin
DELETE FROM TABLE1 WHERE TABLE1 IN (SELECT TABLE1_NUM FROM TABLE1 WHERE MEM_ID = #{memId});
DELETE FROM TABLE2 WHERE TABLE2 IN (SELECT TABLE2_NUM FROM TABLE2 WHERE MEM_ID = #{memId});
DELETE FROM TABLE3 WHERE MEM_ID = #{memId};
end

</delete>

SELECT MAX (DECODE (activity_item, 110, activity_item, 0) ) t1,

         MAX (DECODE (activity_item, 210, activity_item, 0) ) t2,

         MAX (DECODE (activity_item, 220, activity_item, 0) ) t3,

         MAX (DECODE (activity_item, 230, activity_item, 0) ) t4

    FROM TB_EV_ACTIVITY

GROUP BY mem_id, idea_num


해당 mem_id 참여자와, idea_num 아이디어로 중복을 제거한뒤

decode 함수로 해당 테이블의 activity_item이 110일때만 뽑고 나머진 0 으로 나오기때문에

그중 최고치인(max) 110을 제외한 나머지 행을 중복 거른다


결국 한 사람 과 한 아이디어에 관해 (group by) 110, 210 혹은 210, 220, 230 처럼 

열 데이터를 행으로 뿌려준다





아래 출처 : http://www.gurubee.net/lecture/1028


DECODE함수는 집계함수와 함께 통계 데이터를 추출할 때 많이 사용한다. 아래는 부서별로 급여합계를 조회하는 예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부서별로 급여 합계를 출력한다.
SELECT deptno, NVL(SUM(DECODE(deptno, 10, sal)),0) deptno10,
               NVL(SUM(DECODE(deptno, 20, sal)),0) deptno20,
               NVL(SUM(DECODE(deptno, 30, sal)),0) deptno30,
               NVL(SUM(DECODE(deptno, 40, sal)),0) deptno40
  FROM emp
 GROUP BY deptno;
 
DEPTNO   DEPTNO10   DEPTNO20   DEPTNO30   DEPTNO40
------- --------- --------- ---------- ----------
     30         0         0       9400          0
     20         0     10875          0          0
     10      8750         0          0          0

아래 부서별 급여합계 예를 보면 일반적인 집계함수를 사용할 때는 급여 합계가 행으로 조회가 되지만, DECODE와 MAX함수를 사용하면 열로 값을 표시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부서별로 급여 합계를 행으로 출력한다.
SELECT d.deptno, NVL(SUM(e.sal),0) sal
  FROM emp e, dept d
 WHERE e.deptno(+) = d.deptno
 GROUP BY d.deptno;
 
DEPTNO        SAL
-------- ----------
      10       8750
      20      10875
      30       9400
      40          0
 
 
 
-- 부서별로 급여 합계를  열로 출력한다.
SELECT MAX(NVL(SUM(DECODE(deptno, 10, sal)),0)) deptno10,
       MAX(NVL(SUM(DECODE(deptno, 20, sal)),0)) deptno20,
       MAX(NVL(SUM(DECODE(deptno, 30, sal)),0)) deptno30,
       MAX(NVL(SUM(DECODE(deptno, 40, sal)),0)) deptno40
  FROM emp
 GROUP BY deptno;
 
DEPTNO10   DEPTNO20   DEPTNO30   DEPTNO40
--------- ---------- ---------- ----------
    8750      10875       9400          0

ROWNUM DATA 를 추출한 후 조회 하자


ex) rownum 의 잘못된 사용 사례

WHERE ROWNUM = N ( N > 1 )

WHERE ROWNUM > N ( N > 1 )


추출하려면

select 

    rnum,

    t.*

from

(

select

    e1.*,

    rownum rnum

from

(select * from emp order by empno desc) e1 ) t

where rnum >= 6 and rnum <= 12


와 같이 추출 해야한다.




ORDER BY 와 ROWNUM 을 같은 위치에 두지 말자

sql 구성요소들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실행 된다


1) FROM, WHERE 절을 처리

2) ROWNUM 조건 적용

3) SELECT COLUMN LIST 절을 적용

4) GROUP BY 절을 적용

5) HAVING 절을 적용

6) ORDER BY 절을 적용




ROWNUM=1 은 ROWNUM<=1 로 사용하자


CURSOR_SHARING 을 FORCE나 SIMILAR로 적용 하였을 경우

ROWNUM=1을 ROWNUM=:"SYS_B_0" 


1이라는 상수값을 바인드 변수값으로 재해석하여 실행한다


고로 전체 DATA를 다 수행한 뒤 1개 값을 가져오므로 성능악화 된다


하지만 ROWNUM<=:"SYS_B_0" 는 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이라는 범위

(STOPKEY)가 정해지기 때문에 변수의 값을 확인하여

작거나 같은 데이터를 추출하므로 전체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고, 1건만 추출하고

SQL의 수행은 종료된다




INDEX_DESC와 ROWNUM<=1을 함께 사용하지 말자


완벽해 보이는 방법일수도 있겠으나 index가 unusabled이거나 없는 경우라면

데이터의 정합성이 훼손될 수 있으므로 이 방법 대신


max() 혹은 order by desc 후 ronum <= 1 값을 가져오는 쿼리를 쓰는 방법이 좋다.




ROWNUM<=1 은 항상 빠르지 않다


ROWNUM<=1이 빠른경우는 INDEX RANGE SCAN 하여 COLUMN 의 NUM_DISTINCT (종류가 적은)

최종 추출 건수가 적은 경우에만 빠르다.


즉 INDEX SCAN 하지 않고 FULL TABLE ACCESS 하여 NUM_DISTINCT가 많은 경우

모든 것을 실행뒤 COUNT STOPKEY 하므로 이러한 상황에선 느릴 수도 있다.




인라인 뷰에 ROWNUM을 추가할 때는 주의하자


select t3.*, t2.*

  from rownum_t2 t2,

( select rownum rnum, rownum_t3.*

from rownum_t3 ) t3

where t2.c1 = t3.c1

   and t2.c2 = :b1

   and t2.c3 = :b2;


>> rownum_t3 테이블을 table access full 하여 view 한 cost 비용이 높다


select

rownum, 

t3.*,

t2.*

  from rownum_t2 t2,

( select *

from rownum_t3 ) t3

where t2.c1 = t3.c1

   and t2.c2 = :b1

   and t2.c3 = :b2;


>> rownum_t3과 t2모두 index range scan 하여 join 후 count를 먹여

     cost 비용이 적게 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