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String delete(@RequestParam(value="ideaNum", required=false) String[] nums, ModelMap model, HttpServletRequest request) {

...

}


삭제 시 여러 idx 값을 배열로 담아 처리


create user scott identified by tiger

default tablespace users

temporary tablespace temp;


alter user scott identified by tiger;

alter user scott account unlock;

JSP/Servlet redirect, forward(서블릿 리다이렉트, 포워드) 



1. Redirect

 

Redirection인 경우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보내면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 후 리다이렉트 메소드가 호출되면 Client 브라우저에 응답을 보내며 이 응답에는 브라우저가 웹 컨테이너의 응답을 받은 후  location 에 새롭게 Redirection 될곳의 주소를 넣어서 보낸다.


여기에서 하나의 요청이 종결되고, 새로부여받은 URL로 Client 브라우저에서 새롭게 요청하기 때문에 이전 요청 스코프에 저장되어 있던 request 객체는 소멸된다.


클라이언트 브라우저 상단의 URL 창에도 새로운 요청이 만들어져 넘어가므로 리다이렉션되는 곳으로 URL 주소가 바뀐다.


요청객체를 지우고 다시 만드므로 시간이 소요됨.



2. Forward

 

요청이 포워딩 될때는 해당 요청이 서버의 다른자원(서블릿, JSP)에 전달된다.(Request 객체 재활용), 이때 이 요청을 처리하는것을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게 알리지 않고, 이런방식의 처리는 웹 컨테이너 내부에서만 일어나므로 클라이언트는 알수없게 된다.


서블릿컨테이너에서 이를 해석하여,  즉 컨테이너 안에서 해석을 한다는 의미. 그래서 forward한 곳으로 자원을 이용하여 응답을 만들어 보내게 된다.


클라이언트는 이 사실(포워드된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하고 그래서 URL 창의 주소가 처음 요청했던 주소 그대로 있게 되는 것이다.


요청 객체를 재성성 하지 않으므로 Redirect보다 빠르다.



포워딩은 클라이언트와 통신없이 서버에서만 처리되기 때문에 리다이렉트보다 빠르다.






[출처] 오라클자바커뮤니티 - http://www.oraclejavanew.kr/bbs/board.php?bo_table=LecServletJSP&wr_id=253


Cannot load JDBC driver class 'oracle.jdbc.driver.OracleDriver'

위와 같은 에러를 내뱉는다.

이유는 오라클과 메이븐의 License 문제 때문에 메이븐의 중앙 저장소에서 받을 수 없어서 발생합니다.

해결방법은 pom.xml의 <repositories> 태그 안에 ojdbc와 관련된 repository를 직접 추가합니다.


<repositories>

...


<repository>

<id>mesir-repo</id>

<url>http://mesir.googlecode.com/svn/trunk/mavenrepo</url>

</repository>


...

</repositories>





<dependencies>

...


<dependency>

<groupId>com.oracle</groupId>

<artifactId>ojdbc14</artifactId>

<version>10.2.0.4.0</version>

</dependency>


...

</dependencies>



1. xml 을 이용한 등록 방법 - setter 이용


1) applicationContext.xml

<bean id="sqlMapClientTemplate" class="org.springframework.orm.ibatis.SqlMapClientTemplate">
    <property name="sqlMapClient" ref="sqlMapClient"/>
</bean>
 

<bean id="loginDAO" class="com.mungchung.sample.login.LoginDAOImpl">
    <property name="sqlMapClientTemplate" ref="sqlMapClientTemplate"/>
</bean>

 2) Bean

public class LoginDAOImpl implements LoginDAO {

    private SqlMapClientTemplate sqlMapClientTemplate;
 
    public void setSqlMapClientTemplate(SqlMapClientTemplate sqlMapClientTemplate) {

        this.sqlMapClientTemplate = sqlMapClientTemplate;

    }
}

 

 

2. xml 을 이용한 등록 방법 - 생성자 이용


1) applicationContext.xml

<bean id="sqlMapClientTemplate" class="org.springframework.orm.ibatis.SqlMapClientTemplate">
    <property name="sqlMapClient" ref="sqlMapClient"/>
</bean>
 

<bean id="loginDAO" class="com.mungchung.sample.login.LoginDAOImpl">
    <constructor-arg name="sqlMapClientTemplate" ref="sqlMapClientTemplate"/>
</bean>

2) Bean

public class LoginDAOImpl implements LoginDAO {

    private SqlMapClientTemplate sqlMapClientTemplate;
 
    public LoginDAOImpl(SqlMapClientTemplate sqlMapClientTemplate) {

        this.sqlMapClientTemplate = sqlMapClientTemplate;

    }
}

 

 

3. 어노테이션 이용 - 직접 Bean 등록


1) servlet-context.xml

<context:annotation-config/>
<bean id="loginDAO" class="com.mungchung.sample.login.LoginDAOImpl"/>


2) Bean

public class LoginDAOImpl implements LoginDAO {

    @Autowired
    private SqlMapClientTemplate sqlMapClientTemplate;

}


 

 

4. 어노테이션 이용 - Component-Scan 이용


1) servlet-context.xml

<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com.mungchung.sample.login"/>


2) Bean

@Repository
public class LoginDAOImpl implements LoginDAO {

    @Autowired
    private SqlMapClientTemplate sqlMapClientTemplate;

}


출처 : http://www.mungchung.com/xe/spring/21198

스프링에서의 POST/GET 한글처리

springmvc.egloos.com/513986

스프링을 사용하면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점 중 하나는 매번 개발자들이 골칫거리였던 한글처리가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다게 변했다는 점이다. 물론 한글 뿐만이 아니라 UTF-8에서 지원하는 모든 국제어 사용이 자유로우며 POST/GET방식 양쪽 다 처리가 능수능란하게 처리가 가능하다. 이게 정녕 스프링을 이용해서 얻는 이점인지, 아니면 필자가 몰랐던 한글 처리 방법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최소한 스프링을 모르기 전 서블릿과 JSP로 무식하게 MVC 코드를 짰던 순간과 비교하면 정말 행복에 겨워 눈물이 날 지경이다.

먼저 EUC-KR로 문서를 인코딩할 바에야 UTF-8로 문서를 인코딩하는 것이 나으므로 이클립스에서 모든 문서가 UTF-8로 생성될 수 있도록 설정을 바꿔주도록 하자.

Window > Preferences > General > Workspace 
하단 좌측 Text file encoding = Other: UTF-8 
변경

이 설정을 하면 현재까지 작성했던 모든 문서가 UTF-8로 인코딩되며 앞으로 작성될 문서들도 UTF-8로 인코딩되어 작성되게 된다. 만약 이 설명을 하기 전에 한글로 작성한 파일이 있다면 미리 백업해두길 바란다. UTF-8로 인코딩이 변경되면 기존에 있던 한글이 깨져서 나올 수도 있다.

첫번째로 POST방식의 한글 처리를 해결해보도록 하자. 사실 필자의 부끄러운 과거에는 GET방식의 한글 처리법을 할 줄 몰라 대부분의 데이터 전송을 POST로만 전송했던 과거가 있었다. GET에 비해 POST 방식은 ContentType만 설정해도 간단히 인코딩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필자는 보안을 핑계 삼아 꾸역꾸역 데이터를 POST으로만 보냈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참 바보같은 짓이었다. 덕분에 사용자들은 즐겨찾기의 즐거움과 네비게이터의 활용을 만끽하지 못했고 말이다 :(


POST에서 한글처리

스프링에서 POST 전송방식의 UTF-8 인코딩은 정말 간단하다. web.xml에 스프링이 제공하는 CharacterEncodingFilter를 걸어주면 끝이다.

<filter> 
<filter-name>encodingFilter</filter-name> 
<filter-class>org.springframework.web.filter.CharacterEncodingFilter</filter-class> 
<init-param> 
<param-name>encoding</param-name> 
<param-value>UTF-8</param-value> 
</init-param> 
</filter>
<filter-mapping>
<filter-name>encodingFilter</filter-name>
<url-pattern>/*</url-pattern>
</filter-mapping>

CharacterEncodingFilter는 Http상에서 주고받는 데이터의 헤더값을 UTF-8로 인코딩 해줌으로서 다국어 지원을 보장해준다. 매핑할 때 위와 같이 모든 URL에 인코딩 될 수 있도록 적용해주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보자. 제대로 확인하였다면 이제 우리는 앞으로 헤더값으로 주고받는 데이터들에 대해서는 한글의 사용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다.


GET에서 한글처리

GET에서 한글 처리는 POST와는 조금 다르다. 왜냐하면 POST에서는 헤더값으로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에 서블릿에서 어느 정도 컨트롤이 가능하지만 GET은 URL에 직접 데이터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이기 서블릿의 영역 밖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GET을 통해 한글을 데이터를 받고자 할 때는 서버에서 직접 URL을 UTF-8로 인코딩할 수 있게끔 설정해 주어야 한다.

이클립스에서 제공하는 실행도구를 이용해 톰캣을 기동시키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위치에서 Server.xml을 찾을 수 있다.

만약 실행도구로 톰캣을 실행시키지 않는다면 직접 [CATALINA_HOME]\conf 경로로 찾아가 Server.xml 파일을 열어주도록 하자. 우리가 Server.xml에서 추가해줘야 할 부분은 다음과 같다.

<Connector connectionTimeout="20000" port="8080" protocol="HTTP/1.1" redirectPort="8443" URIEncoding="UTF-8"/>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URIEncoding="UTF-8"/>

위의 두 요소에서 굵은 글씨 부분을 추가해주면 된다. 위에는 8080포트에서 들어오는 URI요청을 인코딩해주고 아래는 8009포트에서 보내지는 요청을 인코딩해준다. 보통 8080 포트를 많이 사용하므로 위에만 추가해줘도 되지만 만약을 대비하여 아래의 커넥터에도 인코딩 속성을 추가해주도록 하자.

이제 모든 설정이 끝났다. 정말 쉽고 간단하지 않은가? 과거 서블릿에서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에 일일이 인코딩 설정을 달아주고 유니코드 메서드까지 만들어가며 힘겹게 GET을 인코딩하던 시절은 이제 머나먼 옛날 일이다.

출처 : http://springmvc.egloos.com/viewer/513986

Outer Join 이란?

  • - Equi Join은 조인을 생성하려는 두 개의 테이블의 한쪽 컬럼에서 값이 없다면 테이터를 반환하지 못한다.
  • - 동일 조건에서 조인 조건을 만족하는 값이 없는 행들을 조회하기 위해 Outer Join을 사용 한다.
  • - Outer Join 연산자는 "(+)" 이다.
  • - 조인시 값이 없는 조인측에 "(+)"를 위치 시킨다.
  • - Outer Join 연산자는 표현식의 한 편에만 올 수 있다.


Outer Join 예제

Equi Join과 Outer Join의 비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Equi Join 으로 부서 번호를 조회하는 예제
SELECT DISTINCT(e.deptno), d.deptno, d.dname
  FROM emp e, dept d
 WHERE e.deptno = d.deptno;
 
DEPTNO     DEPTNO
------ ----------
    10         10
    20         20
    30         30
 
-- Outer Join 으로 부서 번호를 조회하는 예제
SELECT DISTINCT(e.deptno), d.deptno
  FROM emp e, dept d
 WHERE e.deptno(+) = d.deptno;
 
DEPTNO  DEPTNO
 ------- --------
     10       10
     20       20
     30       30
              40


Outer Join을 사용하는 테이블에 추가로 조건절이 있다면 (+)연산자를 모두 해야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ename LIKE 조건절에 (+)연산자가 누락된 경우
SELECT DISTINCT(a.deptno), b.deptno
  FROM emp a, dept b
 WHERE a.deptno(+) = b.deptno
   AND a.ename LIKE '%';
 
DEPTNO     DEPTNO
---------- ----------
        10         10
        20         20
        30         30
 
-- ename LIKE 조건절에 (+)연산자를 추가해야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조회 된다.
SELECT DISTINCT(a.deptno), b.deptno
  FROM emp a, dept b
 WHERE a.deptno(+) = b.deptno
   AND a.ename(+) LIKE '%';
 
DEPTNO  DEPTNO
 ------- --------
     10       10
     20       20
     30       30
              40


LEFT, RIGHT, FULL Outer Join

Oracle9i 부터는 ANSI/ISO SQL 표준인 LEFT OUTER JOIN , RIGHT OUTER JOIN, FULL OUTER JOIN를 지원 한다.


LEFT OUTER JOIN

LEFT OUTERL JOIN은 오른쪽 테이블(아래 예제에서 emp테이블)에 조인시킬 컬럼의 값이 없는 경우 사용한다.

1
2
3
4
5
-- LEFT OUTER JOIN 조인 예제
SELECT DISTINCT(e.deptno), d.deptno
  FROM dept d
  LEFT OUTER JOIN emp e
  ON d.deptno = e.deptno; 


RIGHT OUTER JOIN

RIGHT OUTERL JOIN은 왼쪽 테이블(아래 예제에서 emp테이블)에 조인시킬 컬럼의 값이 없는 경우 사용한다.

1
2
3
4
5
-- RIGHT OUTER JOIN 조인 예제
SELECT DISTINCT(e.deptno), d.deptno
  FROM emp e
 RIGHT OUTER JOIN dept d
    ON e.deptno = d.deptno;


FULL OUTER JOIN

FULL OUTERL JOIN은 양쪽 테이블 모두 Outer Join걸어야 하는 경우 사용 한다.

1
2
3
4
5
-- FULL OUTER JOIN 조인 예제
SELECT DISTINCT(e.deptno), d.deptno
  FROM emp e
  FULL OUTER JOIN dept d
    ON e.deptno = d.deptno;






출처 : http://www.gurubee.net/lecture/1021

UPDATE TB_CM_BOARD

        SET

        EXT_ATTR5 = CASE

            WHEN BOARD_NUM=1142  THEN

            WHEN BOARD_NUM=1143  THEN

            WHEN BOARD_NUM=1144  THEN

            WHEN BOARD_NUM=1145  THEN 4

            WHEN BOARD_NUM=1146  THEN 5  

        END

WHERE

        BOARD_NUM IN (1142, 1143, 1144, 1145, 1146)


 

인덱스가 1142, 1143, 1144, 1145, 1146에 대한 글의 ext_attr5 컬럼의 값들을

1, 2, 3, 4, 5 로 업데이트

var uploadFile1 = $('#uploadFile1').val();


var FileFilter = /\.(jpg|gif)$/i;

var extArray = new Array(".jpg", ".gif");   



if(uploadFile1 != ''){

if (!uploadFile1.match(FileFilter)){

alert("다음 파일만 업로드가 가능합니다.\n\n"  + (extArray.join("  ")) + "\n\n 업로드할 파일을 " + " 다시 선택하여 주세요.");

return false;

}

}

'Client Standard > JavaScript & jQu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rt] FusionCharts 오픈 소스 API  (0) 2015.08.27
[Editor] Tiny  (0) 2014.12.29
[프린트] window.print()  (0) 2014.09.12
[Js] 모바일, 웹 브라우저 체크  (0) 2014.08.25
[API] jQuery select box  (0) 2014.08.22



AWS 사용하기

 


1. 회원가입 하기 

자세한 내용은 http://trend21c.tistory.com/1292 를 참조하라.

신용카드와 이메일 인증이 필요하다.

 

국가 코드에는 +82,

Phone Number 에는 0을 제외한 10XXXXXXXX 

 


2.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http://aws-portal.amazon.com/gp/aws/developer/account/index.html?action=access-key 로 접속한다.

 

EC2 Management Console 로 이동한뒤에 좌측에 Region 을  Asia Pacific 으로 변경하고 Launch Instance

 

Quick 위자드로 설정후

 

 

 

나는 우분투를 선택했다. 키 파일은 잘 저장해 놓자. 나중에 서버에 접속할때 쓰인덴다.

 


기다렸다가 새로고침 하면

 

 



3. Port, IP 할당하기


좌측에 NETWORK & SECURITY 탭에서 Security Groups 를 선택한다.


자신이 만든 instance의 시큐리티 그룹과 동일 한 시큐리티 그룹을 선택하고 아래쪽에 Inbound 탭을 누른다.

허용포트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사용할 SSH, MYSQL, HTTP 를 선택한다. ADD RULE 후 Apply Rule Change 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바뀐다.

 

 아이피를 할당하기 위해 좌측의 Elastic Ips 를 누른다.

 

 다음과 같이 Associate Address 를 누르면 할당된 아이피와 내 인스턴스가 연결이 된다.

 



4. SSH 접속

참조

http://trend21c.tistory.com/1295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download.html 에서 putty 와 putty gen을 다운받고,

putty gen 의 Conversion 탭에서 import key 에 우리가 인스턴스를 만들때 썼던 pem 키를 넣고, 패스워드 설정 후 

저장. 앞으로 이 키를 SSH 접속시 사용하므로 저장해 놀것. save private key

 

 

이제 putty를 실행시켜 host ip에 인스턴스의 elastic ip 를 넣고

ssh에서 Auth 탭의 Private key를 browse 해 넣는다.

 

 

 

그리고 open을 누르면 사용자 아이디를 입력하라고 나오는데 Ubuntu 사용시에는 ubuntu를 나머지는 ec2-user로 하면된다. 비밀번호는 아까 생성할때 썼던거.

 

기본적으로 EC2 는 ROOT 로그인이 막혀있다.

로그인되면 sudo su 를 통해 ubuntu 계정으로 루트 권한을 얻을 수 있고

여기서 sudo passwrd root

를 치면 password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유저로 ssh 로그인

PasswordAuthentication yes

/etc/init.d/sshd restart

 

참조 - http://www.natestiller.com/2012/03/enable-root-user-password-login-on-ec2-ubuntu/

 

 

4. SFTP 접속

참조 

http://trend21c.tistory.com/1298

FTP 를 사용하려면 vsftpd를 설치하고 세팅해줘야 한다니 그냥 닥치고 sftp 사용하자.

http://filezilla-project.org/ 에서 파일질라를 다운받는다. 당연히 클라이언트를 받으면 된다.

 

 

에서 Add key file을 눌러 아까 만든 ppk 를 넣음. 

 

 

 

사이트 매니저에서 서버 아이피 설정, Protocol은 sftp, logon type 은 nomal 아이디만 설정하고. 비밀번호는 안써도된다. 이때 비밀번호로 보호된 ppk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 풀라고 하니 그냥 풀고 다른 파일로 저장하면 됌. 아니면 애초부터 그냥 비밀번호 없이 만들던지

 

 

 

 

4. APM, TOMCAT 설치

참조

http://coenraets.org/blog/2011/11/set-up-an-amazon-ec2-instance-with-tomcat-and-mysql-5-minutes-tutorial/

http://crowz.kr/xe/index.php?mid=Linux&page=1&document_srl=1472

 

apache2 설치

$sudo su

#apt-get install apache2

---------------------------------------------------------------------------

mysql 설치

#apt-get install mysql-server mysql-client

중간에 mysql root 암호 물어보는 페이지 나옴.

#apt-get install libapache2-mod-auth-mysql

---------------------------------------------------------------------------

php 설치

#apt-get install php5-mysql php5-gd php-pear php5-curl php5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php5-mysql php5-gd php-pear php5-curl php5 (다시)

-----------------------------------------------------------------------------------------
톰캣 설치
#apt-get install tomcat7 tomcat7-docs tomcat7-admin tomcat7-examples

 

아마존 인스턴스에 8080 포트 안열었으면 가서 열어주고, 아이피, 아이피:8080 확인

 

 

 

5. TOMCAT-아파치 연동

http://crazia.tistory.com/745

 

 

커넥터 연결

$ sudo emacs /var/lib/tomcat7/conf/server.xml


에서


<!-- Define an AJP 1.3 Connector on port 8009 -->
<!--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
-->


로 되어 있는 부분에서 주석을 제거해서

<!-- Define an AJP 1.3 Connector on port 8009 -->
<Connector port="8009" protocol="AJP/1.3" redirectPort="8443" />

로 변경

 

AJP 모듈 활성화 

a2enmod proxy_ajp

service apache2 restart

 

아파치에서 톰캣 연동

 

$ sudo emacs /etc/apache2/sites-available/default


위의 파일을 열어서


DocumentRoot /var/www
<Directory />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Directory>
<Directory /var/www/>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MultiViews
AllowOverride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인 부분을 찾아서


DocumentRoot /var/lib/tomcat7/webapps/ROOT
<Directory />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None
</Directory>
<Directory /var/lib/tomcat7/webapps/ROOT/>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MultiViews
AllowOverride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ProxyPass /servlet/ ajp://localhost:8009/servlet/
ProxyPassMatch ^/.*\.(jsp|do)$ ajp://localhost:8009/

 

과 같이 변경.

 

service tomcat7 restart

service apache2 restart 

 

테스트 페이지

/var/lib/tomcat7/webapps/ROOT/hello.jsp


내용이 다음과 같은 파일을 만들고

<HTML>
<BODY>
Hello! The time is now <%= new java.util.Date() %>
</BODY>
</HTML>

 

아이피/hello.jsp

아이피:8080/hello.jsp 둘다 되나 확인.

 

 

 

 

6. WEBAPP/ROOT 마운트 하기

mount --bind /var/lib/tomcat7/webapp/ROOT /web

 

6.5 FTP 설치하기

EC2 에서 PORT 번호 20, 21번 열어주고

 

$sudo apt-get install vsftpd

$sudo vi /etc/vsftpd.conf  :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anonymous_enable=NO 
local_enable=YES //주석 제거
write_enable=YES //주석 제거

재시작
$sudo /etc/init.d/vsftpd restart

 

이제 파일질라에서 연결하면 안된다고 나올건데.

"서버가 알 수 없는 주소와 수동형 응답을 보냈습니다. 대신 서버 주소를 사용합니다." 이럴거임.

파일질라 -> 편집-> 설정 -> 연결 -> 수동형응답 탭 에서 능동형모드로 자동 전환

하면 된다.

참조 -

http://zeper.tistory.com/262

http://helios30.blogspot.kr/2012/07/1_31.html

 

adduser '사용자'

groupadd '그룹이름'

adduser '사용자' '그룹' : 그룹에 사용자 추가

chown -R '소유주':'그룹' '폴더'

ex) chown -R root:web /web

chmod 770 /web

6.6 텔넷 설치하기

EC2 에서 PORT번호 23번 열어주고.

sudo apt-get install xinetd

sudo apt-get install telnetd

/etc/xinetd.conf 파일의 defualt{} 함수는 주석 처리한다.

 


service telnet
{
disable = no
flags = REUSE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n.telnetd
log_on_failure += USERID
}

참조 - http://designer-jlb.blogspot.kr/2012/06/ubuntu-telnet-ssh.html#!/2012/06/ubuntu-telnet-ssh.html

 

 

7. MYSQL 관리 툴

http://www.mysql.com/downloads/workbench/

 

mysql 외부 관리 가능 설정

http://beizix.egloos.com/2560401

 

8. 도메인 사용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돈내고든, 무료든 도메인을 할당 받아, 리눅스에 네임서버를 구축하던지, DDNS 서비스를 사용하던지. 보통 전자를 하지만 나는 no-ip 를 사용해봤다.

 

http://support.no-ip.com/customer/portal/articles/363247-installing-the-linux-dynamic-update-client-on-ubuntu?__hstc=216490121.f808472541dd23e8091dd633516d14a0.1343900436641.1343900436641.1345277235992.2&__hssc=216490121.6.1345277235992

 

나와있는대로. 하자. 나는 apt-get install noip 가 안되서 아래와 같이 했다.

 

먼저 no-ip 사이트에서 호스트를 추가하고

 

sudo su

  1. cd /usr/local/src/
  2. wget http://www.no-ip.com/client/linux/noip-duc-linux.tar.gz
  3. tar xf noip-duc-linux.tar.gz
  4. cd noip-2.1.9-1/
  5. make install

 

이때 make 가 안되면 apt-get install make 하자.

그래도 안된다. gcc 를 깔자.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usr/local/bin/noip2 -C

/usr/local/bin/noip2

 

 


참고 문헌


블로그 및 웹페이지

1. http://trend21c.tistory.com/1292



출처 URL : http://anster.tistory.com/17

'Serv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AWS install nodejs  (0) 2020.07.31
[AWS] How to Install MariaDB on Ubuntu 18.04  (0) 2020.03.18
[AWS] 웹서비스 세션 처리  (0) 2019.09.11
[강연] AWS 설치 및 간단 사용법 + Wordpress  (0) 2015.10.24
[AWS] 관련 서버 셋팅  (0) 2014.02.25

+ Recent posts